FM nyilvános
[search 0]
Több
Download the App!
show episodes
 
Artwork

1
손에 잡히는 경제

MBC

icon
Unsubscribe
icon
Unsubscribe
Napi+
 
MBC 표준 FM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평일 오전 8시 30분~9시, [박정호의 손경제 플러스]매일 오후 8시 5분~8시 57분 [김현우의 손경제 상담소]매일 오후 1시 52분~2시
  continue reading
 
Loading …
show series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노후대비를 위해 2개의 연금보험에 가입했는데요. 월 100만 원씩, 10년간 총 2억 4천만 원을 이미 완납했고, 다른 하나의 연금저축보험에도 월 25만 원씩 10년간 총 3천만 원을 완납한 상태입니다. 또, IRP계좌에는 지금까지 7천만 원 정도를 납입했고, 퇴직 전까지 세액공제를 위해 매년 900만 원씩 납입할 계획입니다. 여기에 회사의 퇴직연금 계좌에는 약 1억 원 정도가 쌓여있고, 매년 800만 원 가량이 추가되고 있습니다. 나중에 개인연금 수령액이 연간 1500만 원을 초과하면 세금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고 들었는데요, 55세부터 일찍 수령하는 게 좋다는 얘기가 있는 반면에, 늦게 수령할…
  continue reading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정부 “10조원 필수추경 추진”.. 입장 갈린 여야 2) 공매도, 오늘부터 전면 재개.. 유의 사항은? 3) 美, 中최혜국 지위 박탈할까.. 중국도 반격 예고 - 정지서 연합인포맥스 기자 - 조미현 한국경제신문 기자 [친절한 경제] 금을 안전자산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뭔가요?iMBC által
  continue reading
 
1부 [공부왕 이종훈] 야구 티켓 전쟁 - 이종훈 스포츠 평론가 (플레이볼 작가) 2부 [글로벌 리포트] 시진핑의 민심책 | 미국 상품 할인 | 미국 계란 파동 - 어예진 해담경제연구소장iMBC által
  continue reading
 
다양한 산업과 직업의 뒷이야기를 파헤쳐 보는 '이것은 협찬인가, 콘텐츠인가' 이번 화의 주인공은 염소 요리 전문점 ‘향촌흑염소’의 박광석 대표입니다. 향촌흑염소는 국내 최초의 염소요리 전문 프랜차이즈인데요. 다른 요식업 프랜차이즈에 비해 약 10% 높은 마진을 자랑한다네요. 개 식용 종식법으로 인해 보신탕 업계가 쇠퇴하면서 보양식 수요가 염소로 몰리고 있대요! 염소 고기는 특유의 체취로 인해 잘못된 선입견이 한번 생기면 다시는 못 드신다고 해서요. 처음 맛보실 때는 꼭 검증된 식당에 가시길 권해드립니다. 염소 맛이 궁금하신 분들! 그리고 인생 2막을 염소와 함께 열어보고 싶으신 분들은 인터넷 검색창에서 향촌흑염소를 검색…
  continue reading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작년부터 미국 ETF를 사모으고 있었는데 비트코인과 관련된 ETF 종목을 발견하고 이상한 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해당 ETF의 소개를 보면, 비트코인 선물을 커버드콜 전략으로 투자하는 상품이라는데, 정작 종목 자체의 가격은 비트코인처럼 급격하게 상승하진 않았고, 대신 배당금을 50%가까이 나눠줬더라구요. 비트코인의 상승분을 배당금으로 줘서 그런건가요? 또, 기존에는 매달 배당금을 지급하다가 올해부터는 매주 배당으로 바뀌었는데, 월 배당이던 24년보다 배당률이 더 올라서 오히려 투자하기가 망설여집니다. 이런 종목은 어떤 위험이 있는걸까요? 수익률이 매우 높으니 위험도 그만큼 클 것 같은데 자세…
  continue reading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발란, 정산금 밀렸다.. 티메프 사태와 유사 2) 현대제철, 인천공장 한 달간 멈춘다.. 불황에 극약처방 3) 우체국도 곧 은행 업무한다.. 금융소외계층 지원 ↑ - 안승찬 언더스탠딩 기자 - 박세훈 작가 - 김현우 행복자산관리연구소 소장iMBC által
  continue reading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올해 결혼을 생각하고 있는 서른살 예비 신랑입니다. 현재 여자친구와 합쳐서 모은 돈 약 1억5천만 원으로 신혼집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자산 증식을 위해 처음부터 받을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대출을 받아서 매매로 들어갈지, 아니면 보증금 2억 5천만 원 정도되는 신축전세로 들어가 청약을 노려볼지 고민이 됩니다. 2~3년 정도는 전세로 살면서 신생아 특례대출과 청약 제도를 이용해 분양을 받는 쪽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은 드는데, 조언을 구할 곳이 없어 이렇게 사연을 남겨봅니다. 만약 전세로 들어가게 된다면 대출을 최대한 활용해 가지고 있는 돈은 금융자산 투자로 시드를 불리는데 사용하는게 나을지 아니면…
  continue reading
 
Loading …

Gyors referencia kézikönyv

Hallgassa ezt a műsort, miközben felfedezi
Lejátszás